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션 프로젝트 보드 — 거버넌스·온보딩·명명 규칙(2025)

by 심플남1 2025. 8. 13.

 

1) 명명 규칙: 처음부터 일관성 있게

  • 데이터베이스: Projects_팀명_연도, Tasks_전사, Sprints_Q{분기}_팀
  • 속성(카멜케이스/국문): 상태, 우선순위, 담당자, 마감일, 완료일, 프로젝트
  • 상태 값(최대 5): 백로그 / 할 일 / 진행 / 검토 / 완료
  • 우선순위: 높음 / 보통 / 낮음 (색상 고정: 빨/회/파)
  • 태그: 10개 이내 유지, 유사어는 통합(예: “버그”=“결함”)

2) 표준 스키마(최소셋)

모든 보드는 공통 5속성(상태·우선순위·담당자·마감일·프로젝트)을 갖고, 팀별 특수 속성은 접두사로 구분합니다. 예: 마케팅 전용 MKT_채널, 개발 전용 DEV_스토리포인트.

3) 변경 관리(릴리즈) 프로세스

  1. 요청: 페이지 “개선 요청함”(폼/표)에서 템플릿·속성·뷰 변경 제안 수집.
  2. 검토: 주 1회 운영위원(관리자 1, 대표 사용자 2) 회의. 영향도(사용자 수/충돌) 평가.
  3. 릴리즈: Sandbox에서 테스트 → vX.Y로 배포. 변경 로그 페이지 업데이트.

역할 분리: 제안자 ≠ 배포자. 관리자만 스키마 변경 권한을 가집니다.

4) 템플릿 버전 & 변경 로그

  • 버전 규칙: 기능 추가=+0.1, 속성 삭제/큰 변경=+1.0
  • 로그 항목: 버전, 날짜, 변경 내용, 영향 DB, 액션(사용자 할 일), 담당
  • 팀 공지: 배포 시 “무엇이 바뀌었는가/왜 바뀌었는가/사용자가 할 일” 3줄 요약

5) 온보딩·교육 킷

  • 스타트 페이지: 3분 가이드 영상, 핵심 규칙(상태 정의·1인 담당), 자주 쓰는 뷰 링크
  • 샘플 데이터: 역할별 미리 채워진 카드(오너/담당/승인자)로 학습 곡선을 낮춤
  • 퀵 퀘스트: “카드 생성→담당 지정→검토→완료”를 체험하는 체크리스트

6) 품질 보증(SOP)와 감사 흔적

  • 상태별 입·출 조건 문서화(검토=산출물 링크+체크리스트 100%)
  • 중요 변경(속성 추가/삭제)은 변경 요청 ID를 카드에 링크
  • 분기별 스키마 스냅샷 보관: 속성 목록·타입·상태 값 정의서

7) 채택·성과 지표

  • 활성 사용자: 최근 7일 편집/댓글 사용자 수
  • 프로세스 건강: 완료율, 평균 리드타임, 임박/초과 비율
  • 클린니스: 미지정 담당 비율, 미마감 카드 비율, 유휴 속성 수

8) 피드백 루프

  • 월 1회 오픈 데스크: 개선점 수집 & 우선순위 합의
  • 분기 회고: 아카이브 분석(지연 원인 Top3) → SOP/템플릿에 반영
  • 신규 기능 도입 시 2주 베타 운영 후 전사 배포

9) 흔한 실패와 예방

  • 속성·상태 남발 → 최대 5개 원칙과 접두사 관리
  • 즉흥 수정 → Sandbox 검증·주간 릴리즈 고정
  • 신규 사용자 방치 → 온보딩 퀘스트·FAQ·오피스아워 운영

본 가이드는 2025년 기준 기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표준·변경·온보딩의 3축을 갖추면, 노션 프로젝트 보드는 팀 규모가 커져도 깔끔하고 예측 가능하게 운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