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션 프로젝트 보드 — 의존성·리스크·RACI 책임 맵(2025)

by 심플남1 2025. 8. 12.

 

왜 의존성·RACI를 지금 넣어야 하나?

보드가 커질수록 “누가 막고 있는지, 누구에게 승인 받아야 하는지”가 흐려집니다. 자기참조 관계형(Tasks↔Tasks)으로 의존성을 명시하고, RACI(Responsible/Accountable/Consulted/Informed)로 역할을 고정하면 지연과 핑퐁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확장

  • Tasks: 작업명, 상태, 담당자(Responsible), 승인자(Accountable)(사람), 자문(Consulted)(사람, 다중), 공유(Informed)(사람, 다중), 의존 작업(관계형: Tasks→Tasks), 차단됨?(수식), 최초 시작 가능일(롤업/수식), 마감일, 완료일, 우선순위.
  • Risks (선택): 리스크명, 프로젝트(관계형), 영향(1–5), 가능성(1–5), 리스크 점수(수식), 대응 계획, 연결 작업(관계형).

핵심 수식·롤업

  • 차단됨?
    if(length(prop("의존 작업")) > 0 and contains(join(rollup(prop("의존 작업"), "상태")), "완료") = false, true, false)
  • 최초 시작 가능일 (의존 작업의 완료일 최대값)
    롤업: 의존 작업 → 완료일 집계=최대값
  • 시작 가능 상태
    if(prop("차단됨?"), "Blocked", "Ready")
  • 리스크 점수 (Risks DB)
    toNumber(prop("영향")) * toNumber(prop("가능성"))
  • 임박/초과 신호 (Tasks)
    if(prop("상태")!="완료" and dateBetween(prop("마감일"), now(),"days")<0,"초과", if(dateBetween(prop("마감일"), now(),"days")<=2,"임박","정상"))

뷰 구성

  • 차단 인박스: 차단됨?=true & 상태 ≠ 완료. 담당자 순 정렬.
  • 의존 타임라인: 타임라인 보기 + 그룹=담당자. 최초 시작 가능일 표시로 착수 시점 확인.
  • RACI 보드: 그룹=승인자(Accountable). 승인자 관점으로 병목 식별.
  • 리스크 맵 (Risks DB): 보드 그룹=점수 구간(1–5/6–10/11–25), 높은 점수 먼저.

자동화·알림 팁

  • 의존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담당자 멘션으로 “착수 가능” 댓글(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화 도구 연계).
  • 상태가 검토로 전환되면: 승인자(Accountable) 멘션 규칙.
  • 마감 D-2: 담당자·승인자 모두 리마인드 설정.

운영 체크리스트(10분 배포)

  1. Tasks에 의존 작업(관계형)·차단됨?(수식)·승인자/자문/공유(사람) 속성 추가.
  2. Risks DB 생성(영향/가능성/점수) 후 주요 작업과 연결.
  3. 차단 인박스·RACI 보드·리스크 맵 3개 뷰 저장.
  4. 팀에 “의존성 없이는 착수 금지, 검토는 승인자 지정 필수” 규칙 공지.

자주 묻는 질문

Q. 의존성이 복잡해 보드가 느려져요.
A. 대규모 체인은 마일스톤으로 끊고, 세부는 하위 체크리스트로 내리세요. 롤업은 최소한(완료일·상태)만 유지하면 성능이 좋아집니다.

Q. RACI에서 사람을 중복 지정해도 되나요?
A. Responsible는 1명 권장, Accountable도 가능하면 1명. Consulted/Informed는 다중 허용이 현실적입니다.

Q. 리스크 점수 기준은?
A. 1–25 스케일에서 15 이상은 고위험으로 즉시 대응 계획을 만들고 담당·기한을 지정하세요.

본 가이드는 2025년 기준 기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위 의존성·리스크·RACI 체계를 템플릿으로 고정하면, 막힘을 빠르게 해소하고 승인 루프를 단축할 수 있습니다.